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2살 어려지는 만 나이 통일법, 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

by 건강합시다여러분 2023. 1. 2.

2살 어려지는 만 나이 통일법, 만 나이 계산기

만 나이는 대한민국 민법상 정해진 나이 계산법입니다. 윤석열 정부가 올해 6월 28일부터 시행한다고 지난해 공표를 했는데요,

사회적으로 혼란이 있던 부분을 줄여줄 수 있다는 점에선 고무적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'만 나이 통일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
<글 목차>

1. 만 나이 통일법이란?

2. 만 나이 통일법 도입시기

3. 만 나이 계산법

4. 만 나이 계산기

 

 

1. 만 나이 통일법이란?

 

윤석열 정부의 대표공약이자 120대 국정과제 중 13번째 과제였는데요,

나이계산법을 규정하던 민법 제 158조의 내용이 수정되고, 행정기본법 제7조의 2에도 동일한 내용의 법령이 마련되었습니다.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제7조 2 (행정에 관한 나이의 계산 및 표시)
행정에 관한 나이는 다른 법령등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생일을 산입 하여 만 나이로 계산하고 연수로 표시한다. 다만, 1세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월수로 표시할 수 있다.





2. 만 나이 통일법 도입시기

 

12월 27일 법제처에서 만 나이 통일법이 공표되었고, 이날로부터 6개월 뒤인 6월 28일부터 본격적으로 만 나이 통일법이 적용된다고 합니다.

 

 

3. 만 나이 계산법

 

우리나라에서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총 3가지 입니다.

 

1) 세는 나이

 

만 나이 통일법이 도입되기 전에 통용되던 방식입니다. 태어나는 순간 1살이 되고, 해가 바뀌면 모든 국민이 동일하게 1살을 더 먹는 나이 계산 방법이었습니다. 

 

2) 연 나이

 

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서 계산하는 방식입니다.

연 나이 방식으로 계산할 경우 1월 1일생과 12월 31일생의 나이가 같아지는데요. 법 집행 시 편리한 방법으로 병역법이나 청소년보호법 등에서 나이를 계산할 때 주로 활용됩니다.

 

3)만 나이 (6월 28일부터 적용)

 

만 나이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모든 기준은 본인의 생일이 기준이 됩니다.

해가 바뀐다고 해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은 아닌 셈이죠.

출생 후 만 나이 1살이 되기 전에는 생후 O개월 등으로 표기된다고 합니다.

 

만 나이 계산법을 적용하여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

현재 1990년 3월 20일 생이고, 현재 날짜인 2023년 1월 2일을 기준으로 한다고 하면

  • 2023 (현재 연도) - 1990 (출생 연도) = 33
  • 생일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-1 / 생일이 지난 경우는 +1 -> 33-1 = 32

현재 생일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32살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4. 만 나이 계산기

 

아직도 헷갈리는 분들이라면, 만 나이 계산기를 이용해서 계산해보시면 편리합니다.

네이버 검색창에서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하시면 바로 상단에 계산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.

 

만 나이 계산기

반응형

댓글